반응형 매크로 분석, 시장 분석9 주식 시장 분석 기록(23년 10월 26일) 1. 시장의 자금 흐름과 성격 분석 영풍제지와 대양금속의 '쩜' 하한가 사태가 벌어졌다. 해당 종목에 대하여 키움증권이 증거금을 100%로 설정하지 않는바람에 키움증권의 실적에도 큰 손실이 예상된다고 한다. 그로인하여 키움증권도 갭 하락하였고 반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지난 여름에 터졌던 삼천리 등의 무더기 하한가 사태와 닮은꼴이라는 생각이 든다. 특정 작전세력 때문에 저렇게 큰 종목들이 폭락한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 하지만 위의 차트를 보면 최근 3개월간 코스피가 추세적 하락을 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용융자 자금은 하락 초기에는 상승하는 듯 하더니, 시장의 하락과 함께 계속해서 하락하였다. 약한 힘을 가진 보유자들이 지속해서 이탈해 왔었고, 최근의 큰 하락은 하락 추세의 마지막 투매라고.. 2023. 10. 27. 왜 하락장에는 소형주들이 급등하는 것일까?(23.09.19.시장 분석) 1. 시작하며 : 장 마감 후 상승 종목들을 분석했다. 오전에 상승하는가 하더니 하루종일 주가가 하락하는 선강후약 패턴을 보이며 코스피와 코스닥, 두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거래주체를 분석해 보면 외국인과 기관 모두 팔았고, 개인투자자들만 매수한 것으로 나온다. 한국 증시의 양대 세력이 함께 주가를 떨어뜨리면서 팔고 있기 때문에 좋지 않은 모습이다. 특히나 이들은 공매도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보유 물량도 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상승하는 종목들은 존재했다. 거래대금 2200억 원이 터진 롯데손해보험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그리고 큰 거래대금이 터진 종목으로는 엔텔스, 유신 등이 있었다. 이들은 거래대금이 1900억 원 가까이 터졌다. 그런데 이들의 시가총액은 각각 690억 원, 1100억 원가량으로 .. 2023. 9. 20. (23년 8월17일 기준) 한국 주식 시장분석 기록 1. 시장의 자금 흐름과 성격 분석 드디어 시장이 다시 꺾였다. 지난 5월 포스팅 이후 3개월 만의 시장 분석이다. 당시에도 코스피가 꺾인 상황이었다. 위의 차트 중간 부분의 고점을 찍고 큰 하락을 나왔을 때이다. 당시 시장에 신용물량이 대량 출회되었지만, 외국계 자금이 받아내며 시장은 낙폭을 줄이고 바닥을 잡고 있던 상황이었다. 3개월동안의 경과를 통해 분석해 보면, 당시 내가 본 것이 맞았다. 신용매물 출회를 외국계 자금이 받아냈고, 이후 시장은 추가상승세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지난 7월 말 까지 고점 근처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하지만 8월의 시작과 함께 고점을 추가적으로 갱신하지 못하고 급하게 코스피가 하락을 시작, 현재 코스피는 5월 당시의 저점 근처까지 하락한 상태이다. 지수의 위치와 .. 2023. 8. 18. 5월 10일 한국 주식 시장 추적 : 코스피 코스닥 이틀 연속 동반 하락 1. 시장의 자금 성격은 어떠한가? 가장 특징적인 사항으로는 신용 반대매매가 멈추지 않고 계속 터지고 있는 점이다. 지난 3월과 4월의 반대매매비율이 최근 36개월 이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신용대주 비율도 최근 36개월 이내 최고 비율을 기록했다. (신용대주거래란 개별종목 주식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떄 증권사에서 주식을 빌려서 주식(대주)을 팔고, 하락시 해당 주식을 매입하여 상환 차익을 얻는 신용거래의 일종. 공매도라고 보면 된다.) 최근 추세를 보면 공매도 재개 이후로 계속해서 우상향 추세를 그리며 증가했다. 특이점은 공매도가 크게 증가할 때마다 외국계 비율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거의 -1에 가까운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중에서 외국인 자금이 .. 2023. 5. 1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